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레르기 비염 원인과 치료 방법

by 꿈쟁ing 2023. 1. 16.

알레르기 비염 정의와 증상

알레르기 비염은 코의 속살이 특정 물질에 대해 과민 반응을 일으켜 주기적인 코막힘, 콧물, 재채기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특정 물질을 알레르겐이라고 부릅니다. 알레르기 비염의 증상은 코막힘, 콧물, 재채기로 시작해서 증상이 심해지면 눈과 귀의 가려움, 후각 상실이 발생합니다. 게다가 비염을 방치하게 되면 축농증(비부비동염)으로 진행되기도 합니다. 최근 환경 오염과 공기질 악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비염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비염은 주로 청소년기에 처음 발생하지만, 유아기나 성인이 되고 난 이후에도 발생하기도 합니다.

알레르기 비염 원인

알레르기 비염의 원인 항원을 알레르겐이라고 부르고, 대표적인 알레르겐은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집먼지 진드기입니다. 집먼지 진드기는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입니다. 집먼지 진드기의 특징은 실내에 존재하며 일 년 내내 알레르기를 발생시킵니다. 그리고 집먼지 진드기는 완벽히 박멸하기 힘들기 때문에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우선 적절한 실내 온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실내 온도는 20도 정도로 유지하며 실내 습도는 50% 이하가 좋습니다. 또한, 먼지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카펫이나 천으로 만든 소파, 커튼은 삼가야 합니다. 실내 공기를 주기적으로 환기시켜 주어야 하며, 살충제나 공기청정기는 집먼지 진드기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습니다. 두 번째는 꽃가루입니다. 꽃가루는 계절성 알레르겐으로 봄과 가을에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합니다. 꽃가루는 운반 수단에 따라 크게 충매화와 풍매화로 나누어집니다. 바람에 의해 운반되는 풍매화 꽃가루는 충매화 꽃가루보다 입자가 작고 건조하여 알레르기를 잘 유발합니다. 따라서 외부의 바람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것이 중요합니다. 꽃가루가 날리는 시기가 되면 창문을 닫고 공기청정기를 가동합니다. 자동차를 이용할 경우에는 내기 순환을 시행하고 차량용 공기 청정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실외 꽃가루 농도는 대체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가장 높아지는데, 이 시간에는 실외 활동과 외출을 삼가야합니다.

알레르기 비염 치료 방법

알레르기 비염 치료는 크게 네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첫 번째는 환경 요법입니다. 알레르겐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알레르기 치료에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방법입니다. 두 번째는 약물 요법입니다. 주로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 계열의 약물을 사용합니다. 스테로이드 비강 분사기를 사용한다면, 가장 강력한 약물을 국소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비염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면역 요법입니다. 면역 요법이란 알레르겐을 최소량으로부터 시작하여 점점 농도를 높여 환자에게 노출시키는 방법입니다. 면역요법은 3~5년 정도 시행하며,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면역 체계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수술 치료입니다. 비염 수술은 하비갑개의 부피를 축소시켜 코막힘을 완화하고 콧물의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본적인 비염 치료로 보기는 힘들고, 재발하는 경우도 많아 아직까진 회의적인 의사들도 많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