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구건조증의 증상과 원인
겨울철이면 많은 사람들이 눈이 뻐근하고 시린 증상을 경험하곤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안구건조증의 대표적인 증상인데, 안구건조증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안구건조증에 대해 이해하려면 눈물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 눈물은 눈물샘에서 나오는 분비물로써 눈을 촉촉하게 만들어주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눈물을 자세히 보면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점액층은 눈물막 중 눈에 가장 가까이 있으며, 수성층이 고르게 퍼지는 역할을 합니다. 수성층은 눈물막 중간에 있으며,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고 이물질을 청소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방층은 눈물막 바깥에 존재하며, 수성층의 증발을 막아줍니다. 이러한 눈물이 눈에 충분히 존재하고, 알맞은 비율로 구성되어야 눈이 촉촉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양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구성 비율이 깨지게 되면 발생합니다. 우리가 독서를 하거나 컴퓨터로 작업을 하면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드는데 이러한 경우 눈물이 충분히 나오지 못해 안구건조증이 발생합니다. 또한 건조한 환경이나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도 눈물의 구성 비율이 깨지고, 마이샘봄이라고 하는 기름층을 만들어 주는 세포에 염증이 생기면 지방층이 줄어들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안구건조증이 발생하게 되면 초기에는 눈이 뻐근하고 피로감을 느끼는 것부터 시작해서, 이물감과 눈이 타는 느낌을 받게 되며,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시력저하와 결막염으로도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구건조증을 방치해서는 안 되고 적절히 관리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구건조증의 진단과 치료 방법
안구건조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첫째는 눈물을 세극등 현미경으로 직접 관찰하는 것입니다. 세극등 현미경은 특수한 장비가 달린 고배율 현미경으로 각막과 수정체를 검사할 수 있는 안과 장비입니다. 세극등 현미경을 이용하여 눈물층의 높이를 확인하고 결막과 마이샘봄에 염증이 있는지 파악하여 눈물의 안정성에 대해 검사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는 쉬르머 검사법으로 눈물의 양이 적절한지 파악하는 검사입니다. 아래쪽 눈꺼풀에 종이 검사지를 부착하여 눈물 분비량을 확인합니다. 검사는 5분 내외로 진행되며, 안구건조증의 척도는 10mm 이상의 종이를 적실 수 있는지 여부로 판단합니다. 안구건조증의 치료 방법은 세 가지입니다. 첫째는 인공눈물을 통한 누액 공급입니다. 인공눈물과 안연고를 이용하여 눈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건조함을 느낄 때마다 하루 수회씩 점안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다회용 인공눈물에는 방부제가 첨가되어 있으므로 자신의 건강 상태에 맞추어 알맞은 인공눈물을 선택해야 합니다. 둘째로는 눈꺼풀 청소입니다. 기름을 분비하는 마이샘봄 입구를 청소하여 눈물의 지방층을 적절히 유지한다면 안구건조증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눈물점 폐쇄술입니다. 눈물점이란 눈꺼풀에 존재하며 눈물을 눈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눈물점을 폐쇄한다면 눈물의 배출을 막아 눈을 촉촉하게 유지할 수 있습니다. 눈물점 폐쇄술은 눈물점을 기구를 삽입하여 일시적으로 막을 수 있고, 전기를 이용하여 영구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안구건조증 치료 방법 세 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만, 안구건조증은 한 번에 치료가 힘든 만성 질환이고 환경적인 요소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장시간 집중이 필요한 업무를 수행할 때는 의식적으로 눈을 깜빡이고,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이용하고 히터를 직접적으로 맞는 장소는 피하여 눈이 건조해지는 환경을 피하여야 합니다.
댓글